반응형
서울 반려식물병원 신청 및 이용 방법 (농업기술센터 및 클리닉)
반려동물이 아프면 동물병원에 가듯이 반려식물도 아프면 식물병원으로 가야해요. 2023년부터 서울시에서는 반려식물을 키우고 싶지만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시민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아픈 식물을 처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반려식물병원 및 클리닉 사업을 추진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.
특히 코로나 시기를 지나면서 식집사 분들이 많이 늘었는데, 저도 그 중 한명에요. 식물에 대한 지식도 많이 없었기에 많은 식물을 요단강 보내면서, 더 많이 공부하고 사계절을 보내면서 노하우가 어느 정도 쌓였습니다. 다른 초보 식집사분들께서는 저처럼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반려식물병원을 적극 활용하여 소중한 반려식물과 평생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라요.
그럼 서울시 반려식물병원과 클리닉 소개, 신청방법, 치료방법, 기타지원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또 병원과 클리닉은 서울 전역에 있으므로 아래 지도에서확인 후 집에서 가까운 곳을 방문하시기를 추천합니다.
서울시 반려식물병원 소개
반려식물병원이란?
- 식물 전문가가 직접 식물을 진단하고 약 제방이나 분갈이 같은 치료를 진행해 줍니다. 일반 병원처럼 진단실, 처방실, 입원치료실도 갖추었으며 지속적인 관리법을 알려 주는 실습장 또한 갖춰져 있어요.
반려식물병원 주요역할
- 반려식물에 대한 진단 및 처방
- 병든 식물의 입원 또는 당일치료(화분갈이, 약제방제 등)
- 반려식물 관리 애로사항에 대한 전문 상담
- 가정 내 식물관리에 대한 교육(시비, 번식, 병해충방제 등)
- 생활권 반려식물클리닉 지원(전문진단, 입원치료, 종사자 교육)
식물 치료 절차
- 예약 > 접수 > 진단/처방 > 당일치료/입원치료(최대 3개월) > 회복/퇴원
신청방법
신청방법
-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 사전접수
운영시간
- 평일 10:00 ~ 17:00 중 30분 단위로 신청 가능
ㅇ 내용
- 접수가능 화분 개수는 1인 3개 이하
- 신청시 반려식물 진단의뢰서* 작성 제출
- 진단의뢰서: 식물명, 증상, 키우는 장소, 물주는 횟수, 특이사항 등 작성
위치
- 서초구 서울시농업기술센터 반려식물병원: 서초구 헌인릉1길 83-9
- 종로구 반려식물 클리닉: 종로구 통일로18나길 19-1
- 동대문구 반려식물 클리닉: 동대문구천호대로65길 17
- 은평구 반려식물 클리닉: 은평구 연서로43길 16-15
- 양천구 반려식물 클리닉: 양천구 신월동 산 174-1
*TIP: 이외에도 운영주체는 다르지만 노원구에도 반려식물병원이 있습니다. 이용방법 등 운영내용이 다르니,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.
2024.01.20 - [공공 서비스] - 노원 정원지원센터 반려식물학교 강좌 내용 및 가드닝 지원
입원치료실 운영 내용
단계별 절차
- 예약접수: 사전 예약 후 센터 방문, 1인 3개 접수 가능, 인터넷 취약 계층은 전화상담 운영
- 진단/처방: 반려식물 상태 진단 및 식물관리 상담, 정민분석 후 필요 시 분석실 의뢰
- 치료/입원: 진단결과에 따라 당일치료 또는 입원치료 결정, 입원기간 최대 3개월, 사전동의 하 인수포기시 기부
- 교육/지원: 반려식물재배 관리요령 교육, 생활권 반려식물 클리닉센터 입원, 재배관리 매뉴얼 지원
반려식물 입원치료
- 입원기간: 7일부터 최대 3개월까지 입원치료 지원
- 입원치료 제외 대상: 시가 50만원 이상의 고가식물, 희귀식물, 화분 지름 50cm 이상 대형화분 등
전화상담
상담 방법
- 반려식물에 대한 간단한 문제 해결을 위해 방문없이 전화상담을 지원하고 있어요.
- 농업기술센터 반려식물병원 전화 02-6956-8240, 6956-8241
- 반려식물 클리닉 전화
- 종로구 02-732-2874, 은평구 382-8001, 동대문구 070-8287-2935, 2945, 양천구 2065-9740
- 내용: 가정에서 식물을 가꿀 때 생기는 궁금증이나 간단한 진료상담 (영상진료전환도 가능)
영상진료
- 방법: 서울시 영상회의 시스템(meet.eseoul.go.kr)을 활용해 영상진료 또는 전용스마트폰을 통한 영상통화 등
- 내용: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병충해와 식물을 키우는 데 애로사항에 대해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문제 해결
- 반려식물에 대한 간단한 문제 해결을 위해 방문없이 전화상담을 지원하고 있어요.
찾아가는 진료서비스
- 대상: 노약자, 장애인 등 영상진료가 어려운 취약계층, 생활권 반려식물클리닉이 설치되지 않은 자치구의 취약계층
- 운영: 월 2회 건별 취합하여 일괄 처리
반응형
'공공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NEW 캠핑장, 은평구 앵봉산 가족캠핑장 이용안내 및 예약방법 (0) | 2024.02.02 |
---|---|
국립어린이과학관 프로그램 안내 및 방문 정보 (사전예약 필수) (0) | 2024.02.01 |
마포 문화비축기지 해설사 공간투어 신청방법, 시설안내, 주차정보 (2) | 2024.01.22 |
노원 정원지원센터 반려식물학교 강좌 내용 및 가드닝 지원 (1) | 2024.01.20 |
서울시 아리수 수도박물관 전시 해설 예약, 이용안내, 관람코스 (0) | 2024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