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임신준비 1탄 및 2탄에 이어 3탄 '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'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난임에 있어 난임 시술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겠지만, 자연 임신이 가능하도록 한의학적으로 치료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많기에 해당 지원 사업이 나온 것 같아요. 그럼 해당 지원 사업에 대한 내용과 신청 자격 및 신청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다만 해당 지원 사업은 서울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과는 중복 지원이 불가하다는 점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
①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
②서울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
③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
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 이란?
- 만혼과 고령출산으로 증가하는 난임부부에게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(잠재 임신능력)을 향상시켜 자연임신을 통한 출산율 증가에 기여
지원 대상
- 자연임신을 희망하는 원인불명의 난임 진단 부부
- 여성 출생일 기준 (2024년 기준 1979년 이후 출생)
-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서울시 거주
- 결혼 및 사실혼 가능
- 국가 및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과 중복 지원 불가
치료기간
- 3개월 (집중치료)
- 2개월 (관찰기간)
지원내용
- 한의약 난임 치료 3개월 첩약비용의 90% 지원 (10%는 본인부담)
- 지원상한액 : 1,192,320원
- 수급자 및 차상위는 100% 지원
지원 횟수
- 1인당 최대 2회 (1년에 1회 가능)
지원사업 신청
- 부부 신청 시 : 여성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
- 단독 신청 시 : 신청자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
구비서류
- 사전 선별 결과지
-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자가 점검
- 원인불명의 난임을 확인할 수 있는 난임진단서(난임시술병원, 산부인과 전문의)
- 진단서 유효기간: 신청일 기준 2년이내
- 난임시술병원 진단서 제출시 (부부치료)남성 진단서 생략 가능
- 검사결과지 : 보건소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을 통하여 무료검사 가능 (담당자 문의)
- 검사결과항목 : (공통)CBC, LFT, FBS, Bun/cr, B형 간염검사, (남성)정액검사, (여성)AMH, 풍진면역검사
- 검사결과지 유효기간: 신청일 기준 6개월 이내, 단, 풍진면역검사 결과는 유효기간 없음
- 주민등록등본
- 가족관계증명서(부부주소지 다를 경우)
- 사실혼 증명서 (사실혼일 경우)
- 「전자정부법」에 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한 확인에 동의한 경우 주민등록등본 제출 생략
지원사업 참여시 준수사항
- 한의약 난임치료 과정에 성실히 참여하고 설문조사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함.
- 한의약 난임치료 사전 및 사후에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제출함.
- 사전검사 결과 유효기간: 신청일 기준 6개월 이내, 사후검사: 치료완료 후 2주 이내 실시
- 치료지원결정 통지서 유효기간(발급일로 부터 2주)이내 치료를 시작함.
- 유효기간 2주 경과 시 재발급
- 3개월의 지속적 한의약 치료를 받고 치료 결과(임신, 임신지속, 분만) 확인에 협조
- 치료결과 확인 시기 : 치료 종료 후, 6개월, 1년
- 치료 중단 시 보건소에 알려야 함
- 개인사유로 1개월 이상 치료중단 시, 그 시점 기준으로 치료종료 됨
- 한의약 난임치료 중 의과 난임시술 병행 시 지원불가(또는 환수조치)
- 치료 도중 임신 성공 시, 치료종료 됨
반응형
'정책 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 서둘러 신청하세요 (0) | 2024.03.05 |
---|---|
청년 자립토대 지원사업 자격요건 및 선정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3.04 |
임신준비 2탄: 서울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(0) | 2024.03.01 |
임신준비 1탄: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(1) | 2024.02.29 |
임산부, 맞벌이, 다자녀가정을 위한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내용 및 신청방법 (0) | 2024.02.27 |